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집주인 이야기8

월세 밀리는 세입자 대처방법(카톡 문자, 전화, 문구) 전세에 비해 월세는 신경쓸게 더 많은거 같아요.  뭐 수리해달라는것도 전세때보다 더 많은거 같고요. 하지만 무엇보다 신경쓰이는건 제때 월세 안들어오는 경우입니다. 임대료 미납을 경험했고 제가 대처한 방법을 아래 소개해드릴게요.  월세 미납 세입자 경험 저는 2번 정도 월세가 들어오는 날에 입금이 안된 적 있어요.      예를 들어, 매달 25일이 월세 들어오는 날이라고 하면요. 저는 25일까지는 기다려줍니다.그리고 다음날 아침 26일에 세입자에게 문자(카톡)를 보내요. 저희는 카톡으로 이야기해서 카톡으로 보냈어요.   월세 미납 카톡 내용 문구 내용은 깔끔하게 아래처럼 보냈어요.       안녕하세요 임대인입니다.이번달(25일) 월세미납으로 연락드립니다. 확인부탁드립니다.@@은행 계좌번호 이름  이렇게.. 2024. 10. 2.
전세빨리빼기 성공후기3. 가계약금받고 계약당일 월세계약 파기당함 집주인이야기 카테고리 글이 좀 뜸했어요. 전세빨리빼기 성공후기에 관한 글을 연재중이었는데요. 오늘 포스팅은 살면서 한번도 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시겠지만 또 이런 일도 당할 수 있답니다. 일단 저는 기존 전세인이 나가기로 했어서, 새로운 전세인을 구하기 위해 부동산에 매물을 올려두었지만 요즘 금리가 비싸고, 전세대출 이자도 오른 이유인지 전세보다는 월세를 찾는 사람이 많은 추세라는 이야기를 듣고 전세와 월세를 동시에 올려 두었어요. 전세 보증금은 금액이 큰데, 월세 보증금은 금액이 작기에 필요한 돈은 특례보금자리대출론으로 4.5% 고정금리로 메꿨고요. 자세한 내용은 앞에 포스팅들을 읽고 오시면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실 거에요. 가계약금 받기 저는 보증금 4천에, 월세 180만원으로 1년 월세 계약을 하기로.. 2023. 10. 21.
전세빨리빼기 성공후기2. 월세 가계약금 얼마, 계약일 정하기 기존 전세인이 나간다고 해서 전세금반환을 하기 위해, 전세와 월세 둘다 부동산에 매물을 내놓았었고요. 월세가 먼저 빠져서 월세로 집 뺐어요. 월세 가계약금은 얼마로 해야 할까요? 예를 들어, 보증금 4000만원에 월세 180인 집이라고 하면 계약금은 보증금 4000만원의 10%인 400만원이고요. 가계약금은 그 금액의 또 10%인 40만원이에요. 가계약 파기하면 임차인은 그 금액을 (40만원), 임대인은 그 금액의 배를 (80만원) 날리게 됩니다. 전세의 경우에는 보통 10% -> 10% 위의 방식처럼 진행하는데요. 월세의 경우에는 가계약금을 조금 더 높인다고 해요. 사실 40만원이나 80만원은 적은 돈은 아니기는 하지만, 계약파기해서 날려도 나쁘지 않은 정도의 금액이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저희는 가계약.. 2023. 9. 25.
전세빨리빼기 성공후기1. 월세 vs. 전세 일단 저의 전세집 빼기는 전세랑 월세 둘다 내놓고 둘중 빨리 빠지는 거로 빼기로 했는데요. ​ ​ 앞에 포스팅 연결해서 읽고 오시면 이해가 좀 더 잘 되실거에요. 전세빨리빼기 성공후기 월세 문의가 먼저 오고 집 본 당일에 바로 마음에 들어서 계약하고 싶다고 말씀주셨어요. ​ 이렇게나 빨리 새로운 임차인을 구했습니다. (기존 전세 만기일 약 1달+3주쯤 남긴 상태에서 다음 임차인 구해졌어요) ​ ​ ​ 전세는 한 두달정도 아무도 안보러 왔는데 월세로 돌려서 추가 올리고, 3일 후에 월세로 집을 보러 오겠다는 연락을 받았고 기존 전세입자분과 시간 맞춰서 다음날쯤 집 보시고 바로 계약하고 싶다고 연락받았어요. ​ 약간의 계약금과 월세 협상이 진행되면서 하루이틀 정도 시간이 더 흘렀고 (제가 또 바빠서 답이 느.. 2023. 9. 14.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할때(전월세전환), 보증금 조정 방법 전세가 잘 안빠질 때 월세도 같이 올리면 매물 빨리 빼기 좋아요. 전세? 월세? 전세를 월세로 바꾸는 전월세전환율 이라는게 있습니다. 세입자들이 전세로 살지, 월세로 살지 선택할텐데요. 전세자금대출이자와 월세를 비교해보는게 가장 첫번째 이유일거고요. 더 저렴한 거로 선택하겠죠. 두번째는 회사에서 거주비를 지원해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전세가 아닌 월세로 들어오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개인사업하는 분들도 레버리지 땡기는 걸 좋아하기에 월세로 많이 삽니다. 그래서 전세가 안빠지면 월세도 같이 올리는걸 추천해요. 전세를 월세로 전환할때 (전세금액을 월세금액으로 환산) 전세를 월세를 돌려서 금액을 계산할때는, ​ 간단하게 생각하면 전세 금액에 40을 곱하면 월세로 대략 계산이 가능합니다. ​ 예를 .. 2023. 9.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