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 이야기4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실거래가 누락 문의남긴 후기 주택임대차계약신고(전월세 계약신고)를 잘 마치고 시간이 지나도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네이버부동산, 아실 등에 저의 월세 계약 신고내용이 안떠서 실거래가로 보이지가 않았고 국토부 담당 직원에게 전화해서 확인 요청을 했었어요.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담당직원 전화 몇일 지난 뒤 담당 직원에게서 전화가 왔습니다. 잘 등록이 되었고, 신고 기록도 잘 뜬다고요.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과 네이버부동산, 아실 등에 들어가 봤습니다. 계약날짜랑 보증금, 월세 등 잘 뜨네요. 누락 원인 기존 통화로 설명들었던 내용 : 국토부 실거래가 시스템의 정해진 양식과 조금이라도 다르면 (예를 들어 띄어쓰기나 표기방식 등) 실거래가 조회가 되지 않는다고 하면서, 아직은 시스템상 2-30% 정도인가가 반영이 안된다고 하.. 2023. 9. 11. 주택임대차계약신고(전월세신고) 마치고 국토부 실거래가 안뜨는 이유(시스템 미반영) 지난 포스팅에서는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에서 온라인으로 전월세 임대차계약 신고하는 방법을 알려드렸었는데요. 우리가 해야할 건 신고서접수까지이고, 신고처리와 필증발급은 기다리면 됩니다.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필증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에 로그인해서 들어가보면, 필증발급까지 완료된 걸 볼 수 있어요.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필증을 @@동장 직인까지 찍힌게 있으면 신고가 잘 된 겁니다. 전월세 실거래가 확인하는 방법 (네이버부동산, 아실,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신고가 잘 되었다면 여러 군데에 전월세 실거래가가 찍히게 되는데요. 가장 많이 보는 네이버부동산 실거래가를 보면 나와있어요. 아실(아파트 실거래가)에 들어가도 실거래가가 뜨고요. 네이버부동산이나 아실은,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자료를 따 가는 거로.. 2023. 9. 8.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온라인신고 방법(전월세 임대차계약 신고하기) 전월세 임대계약차 신고 방법은 2가지가 있어요. 임대계약차 신고 방법 1. 방문신고 임대차 목적물의 소재지 관할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신고하면 됩니다. 세입자가 주민등록 주소지도 이전할 계획이라면, 전입신고 하면서 임대계약차 신고도 같이 하면 편해요. 전세 줬을때는 임차인이 신고해주셨어요. 2. 온라인신고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또는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에 들어가서 계약서 첨부하면 됩니다. 최근 월세로 매물 뺐을때는 임대인인 제가 직접 온라인으로 임대계약차신고를 진행했어요.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온라인신고하는방법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을 검색하면 부동산 거래 관리 시스템(임대차, 매매신고) / 국토교통부 라는 사이트가 나옵니다. 들어가주세요. 첫 페이지 좌측에 바로 '신고하기' 버튼이 보여요. 매물의 시도, 시.. 2023. 9. 7. 전월세 계약 부동산임대차신고 의무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주택임대차신고) 2021년 6월부터 전세와 월세 계약하게 되면 (임대차계약) 신고해야합니다. 매매의 경우에는 부동산에서 신고해줄텐데, 전세나 월세의 경우에는 집주인이나 세입자가 할 수 있어요. 부동산에서도 할 수 있는거 같기는 합니다만, 제가 집주인이었을때 2번 경우에는 (전세1, 월세1) 전세는 세입자가 신고했고, 월세는 집주인인 제가 신고했어요. 원래 월세 임대차신고도 세입자가 전입신고하면서 같이 하기로 했는데, 제가 온라인으로 한번 해보고 싶어서 제가 하겠다고 했어요. 전월세 계약 신고제 전세, 월세 계약이 체결되면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임대인과 임차인이 공동신고해야 합니다. 계약서를 첨부하면 임대인이나 임차인 중 한명만 단독신고를 해도 됩니다. 위임신고(부동산사장님이)도 가능하다고 해요. 신고주택, 신.. 2023. 9.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