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4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온라인신고 방법(전월세 임대차계약 신고하기) 전월세 임대계약차 신고 방법은 2가지가 있어요. 임대계약차 신고 방법 1. 방문신고 임대차 목적물의 소재지 관할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신고하면 됩니다. 세입자가 주민등록 주소지도 이전할 계획이라면, 전입신고 하면서 임대계약차 신고도 같이 하면 편해요. 전세 줬을때는 임차인이 신고해주셨어요. 2. 온라인신고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또는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에 들어가서 계약서 첨부하면 됩니다. 최근 월세로 매물 뺐을때는 임대인인 제가 직접 온라인으로 임대계약차신고를 진행했어요.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온라인신고하는방법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을 검색하면 부동산 거래 관리 시스템(임대차, 매매신고) / 국토교통부 라는 사이트가 나옵니다. 들어가주세요. 첫 페이지 좌측에 바로 '신고하기' 버튼이 보여요. 매물의 시도, 시.. 2023. 9. 7. 전월세 계약 부동산임대차신고 의무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주택임대차신고) 2021년 6월부터 전세와 월세 계약하게 되면 (임대차계약) 신고해야합니다. 매매의 경우에는 부동산에서 신고해줄텐데, 전세나 월세의 경우에는 집주인이나 세입자가 할 수 있어요. 부동산에서도 할 수 있는거 같기는 합니다만, 제가 집주인이었을때 2번 경우에는 (전세1, 월세1) 전세는 세입자가 신고했고, 월세는 집주인인 제가 신고했어요. 원래 월세 임대차신고도 세입자가 전입신고하면서 같이 하기로 했는데, 제가 온라인으로 한번 해보고 싶어서 제가 하겠다고 했어요. 전월세 계약 신고제 전세, 월세 계약이 체결되면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임대인과 임차인이 공동신고해야 합니다. 계약서를 첨부하면 임대인이나 임차인 중 한명만 단독신고를 해도 됩니다. 위임신고(부동산사장님이)도 가능하다고 해요. 신고주택, 신.. 2023. 9. 6. 네이버부동산에 매물올리기, 집주인매물 집주인인증 네이버부동산에 매물 검색하고 집주인은 매물을 올리곤 하죠. 네이버부동산 집주인 매물 올리는 방법과, 집주인 인증받는 방법을 알려드려요. 네이버부동산 집주인매물 부동산 검색할 때 어디서 제일 먼저 검색하시나요? 여러가지 검색할 만한 곳이 있겠지만 저는 제일 처음 보는게 네이버부동산인데, 대부분 그러실 거 같아요. 네이버부동산 - 매물에 들어가 보면 '집주인' 이라고 녹색 네모박스의 집주인마크가 맨 앞에 붙어 있어요. 집주인마크가 붙어 있다는 뜻은 집주인이 매물을 확인했다는 뜻입니다. 적어도 집주인이 확인했다는 의미여서, 허위매물은 아니고요. 가끔 부동산에서 가격 장난질(혹은 심리를 흔드는 가격 맞추기 라고 해야할까요)을 하기 위해 허위매물을 올리는 경우가 있는데요. 집주인 마크가 붙어 있으면 허탕칠 일 없.. 2023. 9. 5. 전세 빨리 빼는 방법 성공 후기, 부동산 몇 군데에 전세매물 올리는게 적당할까 역전세 시기라고 하는 힘든 시기에 아파트 전세를 뺐습니다. 기존 전세 살고계신 세입자의 보증금 돌려줘야 하는게 문제인데요. 금액이 몇억단위라 다음 임차인을 구하지 않으면 사실상 대부분이 돌려주기 어렵죠. 전세 빨리 빼는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기존 세입자가 살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만 이야기 하겠습니다) 부동산에 전세 매물 올리기(시기별 방법) 우선 아파트단지 내 부동산 한군데 전세 매물을 올립니다. 부동산에서 알아서 네이버부동산에 매물을 올려주실 텐데요. 안올려주시면 꼭 올려달라고 말을 다시 합니다. 저의 경우에 따르면, 약 4개월 전에 아파트단지 1군데 부동산에(기존 저랑 계약하던 부동산에) 올렸습니다. 약 2주 뒤쯤 근처 부동산에 하나 더 매물을 올립니다. 약 2-3개월 전까지 이런식으로 1-2주.. 2023. 9. 4. 이전 1 ··· 10 11 12 13 다음 반응형